제주가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경제적 충격을 가장 크게 받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5일 제주도의회가 발표한 '코로나19 발생이 제주경제와 세입에 미친 영향과 대응' 현안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진 지난해 제주경제 성장률은 -7.5%이다. 2017∼2019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1.5%)보다 9%p 떨어졌다.
이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부진한 수치다. 다른 지역의 지난해 경제 성장률을 보면 인천 -7.3%, 울산 -5.9%, 충북 5.5%, 대구 -5.2%, 충남 -5.2% 등이다.
제주는 특히 '관광산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서비스업(-13.6%)과 소매판매액(-34.5%)에서 크게 부진했다.
경기침체는 제주도의 지방재정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제주지역 지방세 증가율은 5.4%다. 전국에서 울산(1.7%) 다음으로 가장 낮았다. 전국의 지방세 증가율은 15.8%다.
이는 지난해 관광산업의 침체로 인해 관련 세수가 줄어들어 부진한 결과를 가져온 데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지난해 제주의 국고보조금 증가율도 21.1%다. 전국 평균 증가율 37.1%에 크게 못 미친다. 50% 이상 늘어난 서울(67.4%), 경기(53.3%)와 대조를 보인다.
지난해 중앙정부의 이전 재원(지방교부세 + 국고보조금) 역시 2.5% 증가에 불과했다. 전국 평균 증가율(27.2%)에도 크게 못 미치는 최하위 수준이다.
도의회는 도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상공인들의 피해회복 지원자금이 차질없이 배분되도록 지원하고, 비대면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 세입 안정화를 위해 ▲지방세 비과세 감면제도 정비와 축소 ▲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징수율 제고 ▲리스 차량 등록지 유치 확대 ▲제주계정 및 특대행정기관의 국비 지원 확충 노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좌남수 제주도의회 의장은 "소상공인 피해지원은 물론이고 안전망 강화, 교육·사업화 지원 등으로 풀뿌리 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면서 “집행부인 제주도는 이전 재원 확보를 위해 중앙부처를 설득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