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응하는 제주 수산물 소비 인식조사가 이뤄진다.
5일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제주해양산업발전 포럼에 따르면 이달 중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따른 제주수산물 소비 인식도 조사’ 학술연구 용역에 착수한다.
이 연구는 지난 4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 방출을 결정하면서 제주에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도내 해양수산인과 도민, 관광객을 대상으로 인식도 파악과 선제 대응 마련을 위해 추진된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인지하고 있는 도민과 관광객 500여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제주 수산물 인식조사를 벌인다.
아울러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해 해양수산 분야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1대1 대면 설문조사도 한다.
제주해양산업발전포럼은 분야별 인식도를 바탕으로 대응 과제를 발굴하고, 인식도 제고 방안 도출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정책 등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송창권 해양산업발전포럼 대표는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감정적으로 대응하기에 앞서 원전 오염수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과제를 발굴하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연구용역을 통해 마련된 정책 제언을 앞으로 제주도에 제시하는 등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국무회의인 각의를 열어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제1발전소에 저장 중인 오염수를 저장탱크가 부족해 보관이 어렵다는 이유로 해양 방류를 결정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2년 뒤 트리튬 등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기준치 1/40 이하로 희석, 바다로 흘려보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헬름홀츠 해양연구소가 지난해 공개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확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일본에서 방류가 시작되고 7개월 후에 오염수가 제주도 근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제주 수산업계와 시민사회는 일본 정부의 이러한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여러 시민단체에서 오염수 해양 방류를 규탄하는 시위에 나섰고, 제주 어업인들은 일본정부와 기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제주해양수산연구원은 이러한 우려가 계속돼 지난 6월부터 도내 양식수산물에 대한 세슘-131과 요오드-137 등 방사능 물질 검사를 강화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이와 관련, 아이보시 코이치(相星孝一) 주한 일본대사와의 면담을 공식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주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은 유선을 통해 불가능하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