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도 교육자치 발전과정 ... 제1대부터 제16대 교육감까지 발자취

 

1952년 당시 북제주와 남제주에 2개의 교육구가 설치되고, 군수를 당연직으로 하는 교육위원회가 구성되어, 북제주 김시형, 남제주 강은옥이 교육감으로 선출되었다. 1955년 9월 제주읍이 시로 승격되며 새로 조직된 제주시교육감에는, 김시형이 임시 맡다가 1957년 2월 초대 제주시교육감으로 문종성이 선출되었다.

 

1955년 북제주·남제주 교육감이 각각 연임되나, 시군단위 교육자치제는 초등교육만을 담당하였으므로, 중등교육은 여전히 도단위의 지자체에서 담당하였다. 1961년에 일어난 5·16으로 교육행정이 다시 일반 행정에 예속되게 되었다.

 

드디어 1964년 1월 도단위로 하는 교육자치제가 출범하여, 여성으로서는 전국 최초로 최정숙 전신성여학교 교장이, 제주도 초대 교육감으로 취임했다. 현재 15대 이석문 교육감까지의 주요 교육활동 및 변천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대 최정숙 교육감(1964.2.4.~1968.2.3.): 과밀학급(학급당 780명)과 2부제 수업, 재일동포 도움 받아 풍금보내기, 도로변 꽃 심기, 학교 밀감과수원 조성 운동 등.

 

제2대 부대현 교육감(1968.2.4.~1972.2.3.): 쥐와 송충이 잡기 운동과 기생충 검사, 혼분식 장려, 농번기 일손 돕기와 마을 조기청소, 국민교육헌장 선포, 제1회 교련실기대회, 중학교 무시험입학제 등.

 

제3·4대 김황수 교육감(1972.2.4.~1980.2.3.): 새마을운동, 학도호 국단 설치, 반공안보교육 및 국기하강식 강화, 무궁화심기 운동, 반공교육관·민족중흥관 설치 등.

 

제5대 양치종 교육감(1980.2.11.~1984.2.10.): 교육세 신설, 초·중·고 두발·교복 자율화, 삼다삼무 정신의 내면화, 원희룡 전국수석 포함해 서울대학교 97명 합격 등.

 

제6대 고봉식 교육감(1984.2.11.~1988.2.10.): 도서·벽지 중학교 의무교육, 학교 새마을교육(국산품애용, 1인1통장, 학교도로변 꽃길 조성), 오현고 1984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50명 배출, 전국소년체전 제주 개최 등.

 

제7·8대 강정은 교육감(1988.2.11.~1996.2.10.): 교원임용고시, 사회의 학교화 운동, 사랑의 사도상,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주지부 창립. 벌초방학, 민선초대 교육감,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배치, 제1회 수업발표대회, 전국 최초 초등학교 2부제 수업 완전해소 등.

 

제9·10대 김태혁 교육감(1996.2.11.~2004.2.10.):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육, 교원정년 단축, 열린교육 확산, 국민학교 초등학교로 개칭, 학교 및 지역교육청 평가결과 행·재정 차등지원, 작은사랑의 씨앗운동, 전 교육기관 전자통신망 구축, 학교운영위원회 구성, 전교조 제주지부 출범, 도내 초·중·고교 전 학교 직영급식, 무릉·신창·신산·연평 통합학교 설립, 인사비리 의혹 교육감 퇴진압력 등.

 

제11대 오남두 교육감(2004.2.11.∼2004.3.16.): 제11대 제주도교육감 1차선거에서 당선하나 부정선거 의혹으로 당선자 등 43명 구속, 80명 불구속 입건 등.

 

제12·13·14대 양성언 교육감(2004.5.13.∼2014.6.30.): 교육감 보궐 선거 당선, 제학년제학력 평가, 제1회 제주 책축제, 영어교육도시 조성, 찾아가는 도민과의 대화, 주민직선제 첫 교육감, 제주형자율 학교(i-좋은학교) 운영, 시도교육청 청렴도평가 전국 1위, 모든 초·중학교에 정보화 교육기기 설치 등.

 

제15대 이석문 교육감(2014.7.1.∼ ): 아침밥이 있는 등굣길, 소아정신과 의사 직고용, 고교 체제 개편 및 예술학급 설립, 제주형 자유학교 개편(다혼디 배움학교), 4·3평화인권 교육, 교육행정 중심에서 학교교육 중심으로 학교시스템 구축, 청렴도·수능성적 비율 전국1위, 베트남 원어민 채용 등 동남아 교육교류 확대, 문·예·체 동아리 활성화 등. <끝>

 

*** 지금까지 문영택의 '제주선인에게 길을 묻다'를 사랑해주신 애독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문영택은?
= 4.3 유족인 부모 슬하에 부산 영도에서 태어났다. 구좌중앙초·제주제일중·제주제일고·공주사범대·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프랑스어교육 전공)을 졸업했다. 고산상고(현 한국뷰티고), 제주일고, 제주중앙여고, 서귀포여고, 서귀포고, 애월고 등 교사를 역임했다. 제주도교육청, 탐라교육원, 제주시교육청 파견교사, 교육연구사, 장학사, 교육연구관, 장학관, 중문고 교감, 한림공고 교장, 우도초·중 교장, 제주도교육청 교육국장 등을 지냈다. '한수풀역사순례길' 개장을 선도 했고, 순례길 안내서를 발간·보급했다. 1997년 자유문학을 통해 수필가로 등단, 수필집 《무화과 모정》, 《탐라로 떠나는 역사문화기행》을 펴냈다. 2016년 '제주 정체성 교육에 앞장 서는 섬마을 교장선생님' 공적으로 스승의 날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2018년 2월 40여년 몸담았던 교직생활을 떠나 향토해설사 활동을 하고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