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17회] 자급자족적 농업중심 사회에서 초기시장자본주의사회로 전환

 

일본은 한반도 통치 기반 마련을 위해 토지조사사업과 민적법(民籍法)을 근거로 하여 민적조사(民籍調査)를 실시하였다. 민적조사는 호구의 정확한 파악을 위한 것으로 원래 직업조사와는 무관했지만, 1909년 8월 총독부 경무국장은 민적조사를 이용하여 ‘민적부(民籍簿)’에 호주(戶主)의 직업을 표기해 두는 훈령(訓令)을 내렸다.

 

“민적조사(民籍調査)가 다 완료된 이후에는 경찰관서에 민적부를 갖추어 지방에서는 면장(面長)이 신분상의 이동(異動)에 관한 인민의 신고를 관리하여 매달 그것을 관할 경찰서에 보고토록 함으로써 그 추보정정(追補訂定)을 하고 5개년 마다 다시 민적부를 정리하기로 하였다”

 

 

민적부(民籍簿)는 민적법(民籍法)에 따라 작성된 문서로 인구의 조사와 파악, 신분의 공시, 직업형성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1910년 9월 경무국은 민적사무에 관한 자료와 해설을 담은『민적사무개요(民籍事務槪要)』, 민적조사의 통계를 담은『민적통계표(民籍統計表)』를 동시에 발간하였다.

 

『민적통계표(民籍統計表)』에 근거한『직업통계표』는 보다 진전된 호구파악 성과를 담았으며 면별 통계까지 수록하였다.『민적통계표(民籍統計表)』는 11종으로 분류되어 조사된 직업통계표가 전국의 면 단위까지 제시되어 있다. 1910년 5월 10일 경무국이 편찬한 민적통계표에는 각 구역을 단위로 하여 호수, 남녀수, 인구수, 그리고 11개의 직업과 그 합계가 나와 있다. 그리고 해당 군의 면별 통계 앞에 군의 통계도 나와 있다. 먼저 면별로 호수, 남녀수, 인구수, 직업호수를 조사하고 그것을 합산하여 군별, 도별, 전국의 통계치를 만들었다.

 

 

『민적통계표(民籍統計表)』에 제시된 호구의 통계를 기초로 하여 일제강점기 초기 제주지역의 직업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 직업은 관리 혹은 공리(公吏), 농업, 상업, 광업, 공업, 어업, 일고(日雇, 일용 노동자)로 나누어졌다. 1909년 민적조사에서는 양반(兩班)과 유생(儒生)을 직업 종별에 추가하고 이상의 9종에 들어가지 못하는 직업을 기타, 비경제활동 인구 혹은 실직자를 무직(無職)으로 잡았다. 그러나 1912년부터 양반과 유생을 독립된 직업으로 간주하기 곤란했기 때문에 직업분류에서 빠졌다.

 

그리고 1913년도『조선총독부통계년보(朝鮮總督府統計年報)』에 의하면 ‘현재 조선인 호구 직업별(現在 朝鮮人 戶口 職業別)’ 분류를 농업․목축․임업․어업 등, 공업, 상업, 교통업, 공무(公務), 자유업(自由業), 기타 유업자(有業者)및 직업을 신고하지 않은 자로 하였다. 광업은 공업에 일가(日稼)는 기타 유업자(有業者)에 포함되었다. 그 대신에 임업, 교통업, 자유업(自由業)이 독립된 항목은 아니없으나 명시되고 있다. 이렇게 변화된 직업 분류방식의 골격은 1925년 국세조사(國勢調査)까지 이어졌다.

 

 

제주지역 농업호(戶)는 47.1%로 제주지역 직업구성 비율에는 가장 높으나 전국 평균 83%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농업호 비중이 70% 이하인 면은 제주지역 12개면 중에서 7개면으로 전국 평균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 이유는 전국 단위 관공리(官公吏), 행정중심지의 발달에 기인한 현상이 아니라 제주지역에서 호수(戶數) 61.9%, 인구수(人口數) 62.3%를 차지하는 제주군의 어업호가 78% 상업호가 84.7% 전국평균에 비해 매우 높고 이로 인해 제주지역 전체가 어촌으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어업과 농업이 겸업(兼業)으로 중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제주지역 전체를 살펴보았을 때, 농업인구가 47.1%로 가장 많지만 전국 평균 83%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반면 어업호수는 전국 평균은 1%인데 비해 제주지역은 26.3%로 매우 높은 편이다. 상업호수 역시 전국 평균 6%에 높은 19.3%를 나타내고 있으나 공업호는 전국 0.8%에 비해 낮은 0.3%로 제주지역 수공업 발달이 미약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용직 역시 전국 평균 2.4%에 비해 높은 6.5%이며 무직(無職) 역시 전국 평균 1.1%에 비해 높은 3.7%인데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 안정적 일자리가 적었음을 말해준다. 또한 민적부는 남성 가장(家長) 중심으로 기재되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주여성의 경제활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제주지역 관공리 비율은 전국평균 0.5%에 비해 낮은 0.2%이며 양반호(兩班戶) 비율 역시 전국 평균 1.8%에 비해 매우 낮은 0.08(3명)이지만 유생호(儒生戶)는 1.4%로 전국 평균 0.6%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관공리는 정의군 지역이 호수 대비 제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생은 제주군 지역이 압도적으로 많다.

 

 

직업면에서 보면 대정군과 정의군의 농업호는 제주지역 전체 평균 47.1%에 비해 높은 74.7%, 74.4%이지만 가장 인구가 많은 제주군이 30.3%이기 때문에 제주지역 농업호는 전국 평균 83%보다 낮은 47.1%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어업호는 제주군이 26.3%로 정의군 13.1%, 대정군 10.5% 보다 높으며 전국평균 1%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제주지역 상업호는 전국평균 6%보다 높은 19.3%로 특히 제주군 상업호는 26.4%로 높고 대정군 8.2%, 정의군 7.4%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고(日雇)는 제주군이 제주지역 전체 평균 6.5%보다 높은 9.3%이며 다음으로 대정군 2.4%, 정의군 1.5% 순이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제주군이 제주지역에서 호수비율 61.9%, 인구수 비율이 62.3%로 절대적이기 때문에 제주군의 분업 형태가 제주지역 전체의 분업 형태를 좌우하였던 것이다. 이에 비해 대정군, 정의군은 각각 농업호 비율이 74.4%, 74.%이지만 제주지역 전체에서 호수비율이 각각 15%, 22%, 인구수 비율이 각각 15.1%, 22.4%이기 때문에 제주지역 전체의 분업 형태가 이들 지역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보면, 한말․일제초기 제주산업은 농업과 축산업에 비해 어업과 상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출륙금지 200년 이후 개항과 일본인의 내도 증가 등 정치․사회적 변화의 물결을 타고 종전 자급자족적 농업중심 사회에서 어업과 상업 중심의 초기시장자본주의사회로 옮겨가고 있었다는 것이다.

 

농업 역시 기존 자급자족적 농업에서 탈피하여 시장거래에 초점을 맞춘 상업적 영농방식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나고 임고(賃雇) 즉, 일용노동자의 발생과 확대가 확연히 나타나고 있었다.

 

☞진관훈은?

 

= 서귀포 출생. 제주대 사범대를 나왔으나 교단에 서지 않고 동국대에서 경제학 박사(1999), 공주대에서 사회복지학 박사(2011) 학위를 받았다. 제주도 경제특보에 이어 지금은 지역산업육성 및 기업지원 전담기관인 제주테크노파크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겸임교수로 대학, 대학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는『근대제주의 경제변동』(2004),『국제자유도시의 경제학』(2004),『사회적 자본과 복지거버넌스』 (2013) 등이 있으며『문화콘텐츠기술과 제주관광산업의 융복합화연구』(2010),『제주형 첨단제조업 발굴 및 산업별 육성전략연구』(2013),『제주자원기반 융복합산업화 기획연구』(2011) 등 보고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2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