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사업 기간이 토지이용계획 일부 변경과 매각 지연에 또다시 연장됐다.
제주시는 이달 준공 예정이었던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사업 기간을 내년 9월까지 11개월 재연장한다고 24일 밝혔다.
제주동중 북측 21만6920㎡ 일대에 추진 중인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사업은 2019년 9월 30일 기반 시설 공사에 착공했다. 이달 현재 공정률은 76%다.
사업 기간이 늘어나면서 사업비는 898억원에서 444억원이 증액된 1342억원이 됐다.
제주시는 주상복합 용지(체비지) 매각 절차가 지연되고, 토지이용계획이 일부 변경되면서 사업을 연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은 원 토지주들로부터 일정 비율의 땅을 제공받아 도로·공원·공공용지 등 도시 기반 시설을 조성한 후 이들에게 건축용지(택지)를 재분배하는 환지 방식으로 개발 중이다. 환지 방식 개발의 경우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체비지를 둔다.
이에 전체 부지 중 9만1358㎡는 기반 시설 공사 후 기존 토지 소유자에게 환지가 되며 8만8850㎡는 도로·공원 등의 공공시설 용지로 편입된다. 주상복합 용지를 포함한 3만6682㎡는 체비지로 계획됐다.
하지만 체비지 매각이 이뤄지지 않아 사업비 확보가 어렵게 되면서 제주시는 당초 2022년 12월까지였던 사업 기간을 2023년 12월로 1년 연장한 데 이어 2025년 10월까지 1년 10개월 더 늘렸다.
제주시는 체비지를 판매하기 위해 15번이나 입찰 공고했지만 계속 유찰됐다. 고민 끝에 주상복합용지(1필지)를 감정평가 금액(850억 원)보다 낮은 790억원에 공고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침체된 제주지역 부동산 시장이 원인으로 꼽힌다.
제주시는 지난 7월 체비지 1개 필지를 수의계약으로 매각하고, 또 다른 1개 필지를 공유지로 전환해 공공용도로 활용한다는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매각 대상 중 가장 면적이 큰 주상복합 용지를 포함한 5개 필지가 십수차례 매각 시도에도 팔리지 않고 있다.
제주시는 상수도 공급을 위한 추가 관로 설치와 오수 중계펌프장 설치·연계 처리 체계 개선, 차로 폭과 차로 수 확대 등 도시 이용계획도 일부 변경했다.
홍경효 제주시 도시건설국장은 "현재 환지 예정지 내에 준공 전 건축허가 등 토지 사용이 가능한 상황으로 인허가 신청 시 적극 협조하겠다"며 "사업이 완료되면 제주시 동부권의 상업 ·생활 중심지로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시민 체감형 도시환경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