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될 제4차 '제주도 경관계획'의 기본 방향이 공개될 예정이다.
제주도는 오는 20일 오후 2시 제주연구원 3층 대강당에서 경관계획 재정비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향후 5년간의 경관 정책 비전과 전략을 공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중간보고회는 경관법 제15조에 따라 5년마다 의무적으로 재정비되는 경관계획의 중간 점검 성격이다. 도는 2010년 첫 계획 수립 이후 변화하는 도시 환경과 사회·경제적 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세 차례 재정비를 거쳤다. 이번이 네 번째다.
새 계획안은 제주 고유의 자연환경과 문화경관을 보전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도시·생활경관을 만들어가기 위한 종합 전략을 담고 있다. 특히 ▲제주의 역사·문화·생활 기반과 입지·잠재력, 주민의식 등을 반영한 경관 기본구상 및 미래상 재정립 ▲권역·축·거점 등 공간 구조 재편을 통한 경관 골격 강화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된다.
이와 함께 ▲건축물·가로·오픈스페이스·신재생에너지 등 세부 경관 요소별 관리 및 형성 가이드라인 ▲고도 관리 및 지구단위계획 지침 개정 등 세부 전략도 제시될 예정이다.
도는 이번 보고회를 통해 전문가와 도민 의견을 수렴한 뒤 다음 달 공청회와 12월 경관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1월 최종 보고회를 열고 제4차 경관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경관계획 재정비는 변화하는 도시 환경에 대응하면서도 제주의 정체성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공간 전략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며 "도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미래 지향적 경관 정책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