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제주 카페리(여객·화물 겸용선) 바닷길 항로의 운항 공백이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으나 후속 선사를 구하려는 계획은 난항을 겪고 있다. 인천항 제주행 연안여객터미널의 내부 전경이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1042/art_17603993586315_154c8c.jpg?iqs=0.8374609946614056)
인천∼제주 카페리(여객·화물 겸용선) 바닷길 항로의 운항 공백이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으나 후속 선사를 구하려는 계획은 난항을 겪고 있다.
14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인천∼제주 항로엔 2023년 11월 기존 카페리 선사 '하이덱스 스토리지'의 철수 이후 후속 운항 선사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항만공사는 카페리 대신 화물선이라도 임시 투입하려고 지난해 9월과 올해 2월 2차례 공모를 진행했으나 참여 선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잠정 폐쇄된 지상 4층 연면적 2만5000㎡ 규모 인천항 제주행 연안여객터미널도 별다른 활용 방안 없이 방치되고 있다.
항만공사는 제주행 터미널을 인근 옹진행 연안여객터미널 이용객의 대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터미널 간 도보 이동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보류했다.
옹진행 연안여객선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다 보니 제주행 카페리 부두에 접안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항만공사는 일단 제주행 터미널의 외부 주차장 일부를 옹진행 여객선 이용객들을 위한 임시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 제주행 카페리 부두의 일부 공간은 옹진행 연안여객선들의 계류장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공사는 인천∼제주 항로의 운항 공백이 계속되지 않도록 인천해수청을 비롯한 관계기관과 협의하면서 후속 사업자를 찾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운항 공백을 계속 지켜보고 있을 수는 없어 대안이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며 "터미널 활용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