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조류 조사를 맡았던 업체가 이번 환경영향평가에도 다시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예상된다. 제2공항 예정지의 항공사진이다. [제이누리 DB]](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8/art_17580746515862_5857a9.jpg?iqs=0.3722301063689407)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조류 조사를 맡았던 업체가 이번 환경영향평가에도 다시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에 따르면 환경부는 2023년 3월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해 '조건부 동의'를 결정했다. 국토교통부가 한 차례 반려를 통보하고 여러 차례 보완을 거친 끝에 가까스로 통과했지만 평가 과정에서 부실 논란이 제기됐다.
당시 제2공항 예정지 인근에서는 170종이 넘는 조류가 관찰됐으나 충돌 위험 평가 대상에는 39종만 포함됐다. 철새 이동이 가장 활발한 겨울철 조사가 빠졌고, GPS를 부착한 개체 수도 4종 10마리에 그쳐 실제 이동성을 평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조류 조사를 맡았던 A업체가 이번 환경영향평가에도 참여해 이미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으로 1년간 4계절에 걸쳐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업체는 최근 법원이 기본계획 고시 취소 판결을 내린 새만금 신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도 조류 조사와 충돌 위험성 평가를 담당한 바 있다.
박찬식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은 "조류 충돌 위험성을 축소·조작했다는 비판을 받은 업체가 또다시 조사를 맡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대해 해당 업체는 "객관적이고 신뢰받을 수 있는 조사를 하겠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사안은 새만금 신공항 취소 판결과도 맞물려 있다. 법원은 조류 충돌 위험을 과소평가했다는 이유로 새만금 사업 기본계획을 취소했는데 제주 제2공항 역시 반경 13㎞ 안에 철새 도래지가 4곳이나 분포해 비슷한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대 단체들은 향후 실시설계 등 후속 절차 과정에서 행정 행위의 타당성을 두고 법적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