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탄소중립 2035'와 '15분 도시' 비전을 내세우며 자전거를 핵심 교통수단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여전히 정책이 '도로 위 교통수단'에만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위험하게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람들이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7/art_17573794004086_908397.jpg?iqs=0.18556775568513673)
제주도가 '탄소중립 2035'와 '15분 도시' 비전을 내세우며 자전거를 핵심 교통수단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여전히 정책이 '도로 위 교통수단'에만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제주도 홈페이지 '제주자치도에 바란다'에 게재된 한 민원글에 따르면 자전거 인프라는 단순히 도로망뿐 아니라 연습 공간, 놀이 공간, 안전한 순환로, 보관·정비 시설까지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원인 안모씨는 "새로운 자전거 인구 유입을 위해선 아이들이 자전거를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며 현실과의 괴리를 꼬집었다.
그는 "학교 운동장은 인조잔디와 트랙으로 덮여 자전거 이용이 금지되고, 차도는 위험하며 놀이터마저 자전거 주행에 적합하지 않다"며 "아이들이 자전거를 배울 수 없는 도시에서 자전거 정책은 공허한 구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발생한 중학생 픽시 자전거 사고를 언급하며 단속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소년 사이에서 픽시 유행은 자전거에 대한 갈망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안전하게 즐길 공간이 없으니 결국 위험한 장비와 장소를 선택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자전거는 도로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지금의 놀이터에서도 시작될 수 없다"며 "어린이와 청소년이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자전거 놀이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른 시도의 사례는 제주도와 비교된다. 서울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린이 자전거 안전교육장'을 운영한다. 실제 도로와 유사한 신호등·횡단보도 환경에서 자전거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세종시와 대전시도 펌프 트랙과 자전거 놀이터를 도입해 아이들과 청소년이 안전하게 기술을 익히고 놀이로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이런 인프라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닌 생활 속 놀이문화로 자전거를 확산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주도 역시 단속 중심이 아닌 교육·체험 기반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하성수 한국교통안전공단 대구경북본부 교수는 "단속만 강화하면 개인의 성향이 강해지는 청소년 시기 특성상 오히려 반감만 불러올 수 있기에 학교에서 실제 사고 사례를 알리는 등 안전 교육을 더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