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반대 시민사회단체가 대통령실에 제출한 진정서에 대해 국토교통부 제주지방항공청이 답변을 내놓자 강하게 반발했다. 지난 19일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대수산봉에서 제2공항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위원들이 제2공항 예정지를 살펴보며 의견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835/art_17560992399245_b5b527.jpg?iqs=0.4559344746887859)
제주 제2공항 반대 시민사회단체가 대통령실에 제출한 진정서에 대해 국토교통부 제주지방항공청이 답변을 내놓자 강하게 반발했다. 단체는 "갈등의 당사자인 국토부가 아닌 대통령실이 직접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25일 성명을 내고 "지난달 21일 대통령실에 제출한 '제주 제2공항 갈등 해결 진정서'에 대해 한 달 만에 답변이 왔지만, 주체는 대통령실이 아니라 제주지방항공청이었다"며 "지역 최대 현안을 대통령실이 책임 있게 다루지 않고 실무 부서에 떠넘겼다"고 비판했다.
앞서 단체는 제2공항 부지 마을 주민과 117개 시민사회단체 명의로 대통령실에 제2공항 전면 재검토를 요청하는 진정을 제출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 도민 여론조사와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 반려로 무산됐던 사업이 윤석열 정부에서 재추진되면서 갈등이 다시 커졌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비상도민회의는 특히 "제주지방항공청이 답변에서 '2055년 항공여객 4000만명 전망'을 근거로 제2공항 필요성을 설명했지만 실제 항공 수요는 당초 예측보다 1000만명 가까이 줄어든 3000만명 수준에 그칠 전망"이라며 "현실과 동떨어진 수요예측을 여전히 근거로 내세운 것은 갈등을 부추기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답변에 '현 제주공항은 측풍으로 인한 항공기 사고 위험이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며 "그동안 어떤 공식 문서에서도 근거로 제시되지 않았던 내용이 돌연 등장했다. 국민의 안전을 협박 카드처럼 사용하는 무책임한 태도"라고 반발했다.
단체는 "제2공항의 안전성 문제와 조류 충돌 위험성은 이미 국책연구기관이 '입지 부적합' 의견을 낸 사안"이라며 "국토부가 갈등을 해결할 의지도 능력도 없음을 스스로 드러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10년을 이어온 소모적 갈등을 끝내려면 대통령실이 직접 나서야 한다"며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도민 숙의를 거쳐 제2공항의 필요성과 환경 적합성을 도민 스스로 판단하게 하는 것이 국민주권정부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