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약 1. 지역경제 활성화 : 안정기반 구축과 경제 도약
□ 정책목표
◎ 감귤산업의 특화와 비약적 발전
◎ FTA 위기 극복을 위한 1차산업의 경쟁력 강화
◎ 서귀포-성산포-모슬포 3대 거점을 활용한 관광산업의 부흥
◎ 제2 삼다수 공장 서귀포시 유치
◎ 민군복합항 관련 1조5천억원의 국비지원 확보
□ 세부실천과제
1. 감귤산업의 비약적 발전
· 감귤자조금 조성 : 2,000억원(연간 600억원)
- 수급 조절, 적정가격 보장, 시설현대화, 신품종 육성, 수출 지원, 식품·가공산업 연계 등
· 품종·작형의 재배치 및 신품종 개발
· FTA 과수기금 사업체의 자율사업 확대
· 친환경 감귤생산의 확대, 감귤원 경관보전직불제 도입
· 감귤수출 확대 및 유통·마케팅 시스템 혁신화
· 감귤 기능성물질을 활용한 산업화 추진
· 감귤식품산업 클러스터 추진
2. 관광산업의 부흥
· 건강·휴양 복합관광산업 추진:자연치유단지 조성(서귀포휴양림)
· 서귀포시를 MICE산업 메카로 조성(컨벤션센터 신관 MICE 멀티홀 조성)
· 제주형 뷰티테라피 프랜차이즈 육성 (미용·성형 관광객 유치)
· 다목적 해양레저센터 건립 : 성산포 지역
· 관광 음식 먹거리 플라자 조성
·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복합단지 조성
3. 지역상권 활성화
· 제2 삼다수 공장 산남 유치
· 강정천 지표수 활용 및 수출 추진
· 서귀포항 물류 확대 및 활성화
· 매일시장-이중섭거리-송산동 일대 면세특구 지정
· 중문관광단지 내에 프리미엄 아울렛 조성
· 지역연고산업 적극 육성
△공약 2. 1차산업 경쟁력 강화 : 청정 1차산업 메카, 서귀포시
□ 정책목표
◎ FTA 대응 및 활용을 위한 컨트롤타워 구축
◎ 틈새농업 육성 및 6차산업화 추진 (한약재 등 유망작물 재배)
◎ 친환경농업 중심 농업비즈니스 전환, 친환경농업단지 조성
◎ 소, 돼지, 닭 등 국가종축기지 건립
◎ 어민소득 창출을 위한 수산물 직거래 물류센터 건립
□ 세부실천과제
1. 밭작물 등 1차산업의 획기적 발전
· 권역별, 읍면별 특화작물의 전략적 육성, 클러스터 조성
· 월동채소류 안정화 사업 추진
- 관측센터 설립, 가격안정화 자금지원, 고부가가치 가공산업 육성 등
· 밭작물 유통개선을 위한 산지유통센터(APC) 건립
· 아열대작물 생산기지 조성
· 미래녹색성장산업으로 곤충산업 육성
· 뷰티·한방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
2. 축산업 발전기반 구축
· 제주말산업진흥계획 확실히 추진(말산업 특구 지정)
· 흑우, 흑돈, 마필 등 제주형 유전자원 육종 개량
· 양돈산업 시설현대화 및 최첨단화 추진
3. 어업경영 현대화 및 지원 확대
· 어업경영비 부담 경감, 외해양식의 산업화
· 해수관상 생물산업의 육성
- 성산포 해양과학관과 연계 테마파크관 조성
· 수산물 복합유통센터 건립
· 해녀탈이장 유류비 지원 및 농·수산업용 면세유 공급 확대
△공약 3. 지역사회 희망 창출 : 미래성장 동력확보
□ 정책목표
◎ 신공항의 서귀포시 유치 추진
◎ 국제자유도시 핵심프로젝트의 지속적 추진과 신프로젝트 개발
◎ 면세특구 지정을 통한 지역상권의 활성화
◎ 귀농인, 예술인, 휴양·치료를 위한 인구 유입
◎ 청정환경도시, 마을 만들기
□ 세부실천과제
1. 국제자유도시 신프로젝트 개발
· 기존 핵심 프로젝트 조기 추진 및 완성
- 서귀포시지역의 휴양형주거단지, 신화역사공원, 제주헬스케어타운, 서귀포관광미항
· 중문관광단지를 복합리조트로 조성, 랜드마크화
· 중문관광단지 내 골프장 매각 반대 : 도민의 골프장으로 추진
· 서귀포시에 뷰티케어 빌리지 조성
· 인센티브 연수기관 유치
· 뷰티케어 빌리지 조성 및 Edu-MICE 사업 추진
2. 정착인구 유입
· 신공항의 서귀포시 유치, 건설 추진
· 국제자유도시 조성 사업의 원활한 추진 및 기업 유치 활성화
· 유치기업 경영활동 지원 차원에서 도가 지원하는 인력양성체제 구축
· 대학생, 귀농·귀촌인구, 문화예술인, 헬스케어 정주인 등 유입
- 귀농·귀촌인·문화예술인·헬스케어 단지 조성
· 실버타운, 은퇴자 빌리지 조성
3. 청정 환경도시 만들기
· 서귀포 구도심권 정비
· ‘그린스마트 시티 서귀포’ 조성
· 전기자동차와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을 통한 스마트 시티로 전환
· 친환경버스(전기버스) 조기도입, 친환경교통시스템 마련
· ‘거주도시녹화사업’을 통한 생활 녹지공간 조성사업 확대 실시
· ‘도심녹화 커뮤니티’ 확대를 통한 주민참여형 사업 실시
△공약4. 교육·문화의 균형 : 미래인력 역량축적
□ 정책목표
◎ 서귀포지역에 특성화 대학의 유치
◎ 특화된 문화예술의 거리 조성, 문화예술특구 지정
◎ 제3 태능선수촌, 국가대표 제2훈련장 등 스포츠 단지 조성
□ 세부실천과제
1. 특성화대학 유치 및 신교육 기반 조성
· 서귀포 특성에 적합한 전문대학(원) 설립
- MICE 전문대학(원)
- 레저·스포츠(골프/승마/요트 등) 및 식음료 전문
- 세계평화/세계환경/세계유산 전문/특화농수산업 등
· 국제 청소년 수련원 건립
· 서귀포시 인재 및 장인 발굴 사업 추진
2. 문화예술, 스포츠의 특구 추진
· 서귀포 문화특별지구 지정 및 육성 (서귀포 구도심)
· 한·중·일 서예비엔날레 개최, 서예(서체)특구 지정
- 추사 김정희와 소암 현중화의 세계적 가치 홍보
- 서복전시관~이중섭미술관~기당미술관 연계 특구 지정
· 문화테마거리 선정
· 제3 태능선수촌 건립 및 국가대표 제2훈련장 유치
· 스포츠 클리닉센터 설립
· 스포츠용품 국제박람회 개최
· 해양레저 스포츠 공원 조성
· e-스포츠 레저벨리 조성
△공약5. 복지와 평화 확대 : 안정과 여유의 서귀포시
□ 정책목표
◎ 청년 일자리 창출, 청년창업보육센터 건립
◎ 노인과 여성, 아동, 다문화가정이 잘 사는 사회
◎ 4·3문제의 전향적 해결
◎ 제주를 동아시아 평화교류의 중심지로 조성
□ 세부실천과제
1. 다양한 복지혜택 추진
· 서귀포의료원 발전전략 수립(의료원의 조기 신축, 진료역량 제고)
· 서귀포시를 100세 시대 노인 건강메카로 추진
- 자연치유메카 조성 등 초고령 관련 산업 클러스터 구축
· 읍·면 지역의 아동·청소년 안전망 구축 및 교육복지사업 추진
· 청년 일자리 창출
- 재외도민과 연계, 고향후배 1기업 채용 추진 등
· 청년창업보육센터 설립 및 지원
· 지역정착형 일자리 창출
· 대학생 학자금 무이자 대출
· 노인고용 활성화, 취약계층 노인들의 최저생활 보장
· 서귀포시 노인일자리 서포티즈 확대, 노인일자리 임금 현실화
· 농지 역모기지 형태의 농지연금 제도 활성화
·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전문경영인, 농업후계자 양성 확대
· 농작업 질병치료 보험제도 등 ‘농부증’ 지원대책 마련
· 여성농업인 육성 및 복지지원 강화
· 다문화가정을 위한 문화·복지정책 확대 추진
2. 4·3문제 해결과 평화의 섬 기반 조성
· 4·3유가족들 위한 실질적 국가 혜택 부여 (특별법 개정)
· 4·3 국가추념일 지정
· 모슬포 알뜨르비행장 부지를 ‘세계평화유산특구’로 지정
- 평화대공원 프로젝트 수정, 광역경제권사업으로 추진
· 중문 평화연구원의 기능 활성화
- 세계평화교류센터 기능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