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는 2일 성명을 내고 “제주4·3 64주년을 맞아 4·3영령들의 명복과 안식을 기원하며 화해와 상생, 그리고 평화와 인권이라는 제주4·3의 보편적 가치가 더 크게 꽃필 수 있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그는 “4·3위원회 폐지 시도, 역사교과서 논란 등 지난 4년간 계속됐다”며 “4·3 흔들기가 채 아물지 않은 4·3의 상처를 덧나게 하고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희생자와 유족들의 덧 난 상처와 아픔을 위로하고 훼손된 제주도민의 자존을 세우기 위해 4.3의 완전한 해결은 더 이상 늦출 수도, 늦춰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최소한 제주4·3 추모기념일 제정과 4·3희생자 및 유족의 추가신고, 희생자 및 유족에 대한 국가지원 등 4·3의 당면과제만이라도 조속히 실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이명박 정부와 새누리당은 4·3 64주년을 맞아 4·3의 아픔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의지를 갖고 있는지를 보여줘야 한다”며 “이 길만이 그동안의 4·3흔들기로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은 제주도민들을 진심으로 위로하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4·3의 완전한 해결에 동참할 것을 재차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