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영어교육도시 향후 경제효과는 '연간 3687억원'

  • 등록 2016.04.19 14:32:10
크게보기

한국경제연구원, 학생 1인기준 소득효과 1491만원 ... 2021년까지 7개 학교

제주 영어교육도시가 계획대로 조성되면 연간 3687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9일 내놓은 '제주 영어교육도시 파급효과 실증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학생 1인 기준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직접소득효과는 지역 거주 교직원 소득창출효과 1081만원, 외국진학 감소에 따른 외화절감 효과 410만원 등 총 1491만원으로 분석됐다.

 

또 학교운영비 지출액 296만원, 학생지출비용 1033만원 등 1329만원의 간접소득 창출효과와 1277만 원의 유도소득 창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직접소득 창출액과 간접소득 창출액, 유도소득 창출액을 합산하면 학생 1인당 연간 소득창출효과는 총 4097만원으로 계획대로 9000명의 학생을 유치하면 연간 3687억원의 소득이 창출된다"며 "이는 2014년 제주도 GRDP(13조8941억원)의 2.65%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밝혔다.

 

 

정부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2021년까지 제주 영어교육도시에 7개 국제학교를 설립하고 학생 9000명을 유치할 계획이다.

 

한경연은 또 2021년까지 제주 영어교육도시 건설에 사업비 1조7810억원이 투입되면 생산유발 효과 2조1975억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7557억원 등 총 2조 9532억원이 발생하고, 2만931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는 2008년부터 제주 영어교육도시 조성을 위해 서귀포시 대정읍 일원 379만2000㎡(약 115만평)의 면적에 공공 4133억원, 민간 1조3677억원 등 1조781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하고 있다.

 

제주 영어교육도시엔 현재 공립인 한국국제학교(KIS)와 영국 노스 런던 칼리지에이트 스쿨(NCLS), 캐나다 브랭섬홀아시아(BHA)가 문을 연 상태다. 내년 하반기엔 미국의 세인트 존스베리 아카데미(SJA)가 추가로 개교한다.

 

현재 영어교육도시 내 재학생수는 지난해 말 기준 2404명으로 운영 첫해인 2011년 말 817명보다 3배가량 늘었다. 국제학교 졸업생은 최근 2년 연속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웨슬리안, UCLA, 코넬대, 서울대 등 국내외 명문대학에 합격하는 성과를 거뒀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뉴시스]

 

 

 

양성철 기자 j1950@jnuri.net
< 저작권자 © 제이누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노형5길 28(엘리시아아파트 상가빌딩 6층) | 전화 : 064)748-3883 | 팩스 : 064)748-3882 사업자등록번호 : 616-81-88659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제주 아-01032 | 등록년월일 : 2011.9.16 | ISSN : 2636-0071 제호 : 제이누리 2011년 11월2일 창간 | 발행/편집인 : 양성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성철 본지는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 2011 제이앤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nuri@jnu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