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경기도를 비롯해 충북 등은 일정연령의 여성농업인을 대상으로 보건·의료비용 및 문화 활동비용 등을 제공하는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 사업을 도입, 실시하고 있다.
강 후보는 "여성 농·어업인은 농업주종사의 53%를 차지해 법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음에도 현재 법적·사회적 지위는 남성보다 낙후된 상황”이라며 "현재 정부 예산지원 없이 일부 지자체에서만 운영되고 있는 등 제한적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강 후보는“여성농업인 대다수가 근골격계 질환을 갖고 있어 바우처의 주요 사용처를 병·한의원, 약국으로 확대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바우처의 의료목적 사용의 기존 복지정책과 중복된다는 사유로 복지부가 제동을 걸고 있어 중앙정부와의 절충이 필요하다”이라고 강조했다.
강 후보는 “제주의 경우 제주특별자치도 여성농어업인 육성지원 조례'에 근거해 여성농업인에 대한 바우처 지원이 가능한 법적 근거가 마련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강 후보는 "실생활에서 여성농업인들의 의료·복지 등에 대한 다양한 생활서비스 욕구를 수렴할 수 있도록 복지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바우처 사업의 정부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강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