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예비후보는 “농업구조와 영농 형태 변화로 여성농업인들의 역할도 다양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은 여성농업인이 떠맡아야 할 영역으로 남아 있는 실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위 예비후보는 “여성농업인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농촌을 유지하고, 농촌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많은 공익적 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국민으로서 기본적으로 누려야 할 의료·교육·복지·문화서비스 등으로부터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위 예비후보는 “1인 3역으로 여성농업인이 겪는 고충을 우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여성복지 확대 정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 예비후보는 여성농업인 복지 확대 방안으로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연간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여성농민 행복 바우처’ 제도 전국 확대 ∆보건복지부의 가사·간병서비스 농촌지역 할당제 실시 ∆취약농가 인력지원 서비스(영농·가사도우미)지원 금액 현실화를 제시했다. [제이누리=강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