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수자원본부가 6년간 상수도 요금 부과기준인 ‘유수율’ 통계를 조작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유수율이란 정수장에서 생산된 상수도 중 누수량과 공공용수를 제외해 가정까지 도달한 양을 백분율로 환산한 것으로, 수도요금을 부과하는 기준이다.
도는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유수율을 76.9%로 집계, 2013년부터 지난해 까지 유슈율은 76.9%로 발표했다.
2006년 제주도가 특별자치도로 되기 전 4개 시군 당시 유수율은 73.5%, 4개 시군이 2개 시로 통합된 후인 2007년에는 76.7%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제주도가 2008년과 2009년 광역상수도 1∼2단계 사업을 마무리 한 후 유수량을 측정해 보니 76.7%가 아닌 실제는 44%대였다.
누수율 또한 14.8%라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42.1%로 나타났다. 1년 제주도에서 생산하는 상수도 1억4395만t 중 유수수량은 44%인 6338만t, 누수량은 42.1%인 6061만1000t이었다.
도는 2008년 말에서 2009년 초 이런 사실을 알고서도 6년여 동안 계속 거짓 수돗물 통계를 발표한 것이다.
도는 특히 지난 7년간 유수율을 높이기 위해 해마다 70억원을 투자해 온 것으로 드러나 통계조작에 대한 허탈감을 더 해 주고 있다.
홍성택 제주도 수자원본부장은 이날 도청 기자실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정부도 제주도의 유수율 통계조작을 알고 있었다"며 "계량 시스템이 완비되지 않아 생산량 집계가 정확하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홍 본부장은 "유수율을 올리기 위해 노후관 개량사업을 해야 하는데 환경부는 동의하고 있지만 기획재정부가 난색을 하면서 국비절충이 안되고 있다"고 저간의 고충을 토로했다.
도는 국비보조가 안된다면 자체재원을 매년 400억원 마련해 2025년까지 3934원을 투입해 유수율을 전국평균 수준의 83%까지 향상시킬 계획이다.
도는 이렇게 될 경우 생산비용이 1161억원 절감되고, 신규 지하수 10만6000t의 개발을 대체하는 효과를 얻어 수도요금 인상요인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