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국가추념일로 치러지는 4.3추념식을 앞두고 4·3유족회와 관련 단체 등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추념식 불참까지 검토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대통령은 물론 국무총리마저 불참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4.3도민연대, 제주민예총, 4.3연구소 등은 1일 오후 5시 제주4.3평화기념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박근혜 대통령의 참석을 재촉구했다.
4.3단체들은 특히 국무총리 마저 참석하지 않을 경우 자신들도 4.3추념식에 불참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4.3단체는 기자회견에서 "국정처리와 국회일정 때문이라는 명분이 있겠지만 국민들의 아픔과 소원을 외면하는 국정운영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반문하게 된다"고 항의했다.
이들은 “중앙정부가 지금도 제주를 변방으로 생각하거나 전국 1%의 하찮은 통계적 관점에서 보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며 현실을 개탄했다.
특히 4·3유족회 측은 ‘행사불참’을 거로하는 등 강경한 어조로 비판했다.
정문현 4.3유족회장은 "추념일로 지정해 놓고 대통령도 국무총리도 안오면 어떻게 하느냐"며 "만약 그렇게 된다면 위령제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첫 국가추념일로 지정돼 치러지는 66주기 4.3희생자 추념식이 파행으로 치달을 우려가 나오고 있다.
4.3단체 관계자는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뒤 첫 행사인데 이럴 수가 있나. 도민에 대한 모독이고, 4.3 영령에 대한 모독"이라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4·3추념식을 앞두고 대통령과 총리의 불참은 예견된 것처럼 보인다. 통상 대통령 참석이 예정될 경우 2~3주 전에 청와대 경호실이 움직여야 하지만 아직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는 상황이다.
국무총리마저 불참할 가능성이 높다. 1일 원내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시작으로 4월 임시국회가 막이 올라 대정부 질문이 3일부터 8일까지 정치, 외교.통일.안보, 경제, 교육.사회.문화 분야 순으로 진행된다. 정 총리는 3일 오전 10시 국회 대정부 질문에 참석하는 것으로 예정돼 사실상 4·3위령제 참석이 어려울 전망이다.
총리실 측은 “현재 국회와 비공식적으로 양해를 구하고 있다”고 말하지만 여전히 참석은 불투명하다.
더욱이 4.3국가추념일 지정의 주무장관인 안전행정부 장관은 현재 공석인 상태다. 대통령과 총리·장관이 줄줄이 불참하는 첫 추념일 지정 추모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