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도인터넷신문기자협회 공동기획③] 학교급식 넘어 복지급식으로

제주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1차산업, 그중에서도 농업은 현재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훼손, 코로나19 창궐 등으로 인해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제주 농업 생태계에도 변화의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이 흐름에 주목을 받는 게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바라보는 친환경농업이다. 제주도인터넷신문기자협회(미디어제주·제이누리·제주의소리·제주투데이·헤드라인제주)와 (영)제주특별자치도친환경연합사업단은 농업과 친환경 먹거리의 현주소를 바라보고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동기획보도에 나선다. [편집자주]

 

 

친환경농업이 우리나라에 본격 시작된 지 20여년이 지났다.

 

안전하고, 좋은 먹거리를 원하는 국민과 도민은 많아지고 있지만 제주도의 '친환경농업'은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2019년 제주 친환경 농산물 인증 현황(4월 기준)은 농가수 1171호(유기 387호·무농약 784호), 재배면적 2204ha(유기 1341ha·무농약 863ha)다.

 

최근 10년간 통계를 살펴보면 제주지역 친환경농업은 오히려 축소되고 있는 현실을 알 수 있다.

 

친환경농업 농가는 2009년 1301호에서 2010년 1307호, 2011년 1352호로 정점을 찍었고, 2012년 1342호, 2013년 1316호, 2014년 1195호, 2015년 1104호로 매해 감소했다.

 

저농약인증이 폐지된 2016년 1144호로 다소 증가한 이후 2017년 1099호, 2018년 1098호, 2019년 1171호로 1200호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인증 면적도 2012년 2729ha에서 2013년 2680㏊, 2014년 2602㏊, 2015년 2594㏊, 2016년 2409㏊, 2017년 2388㏊로 매해 감소하다 2018년 2123ha에 그쳤다.

 

친환경농업이 위축되다보니 화학비료 사용량은 5년새 20% 이상 급증,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 수질오염을 악화시키고 있다.

 

화학비료 공급량은 2011년 4만8626톤에서 2014~2015년 4만톤 미만으로 감소했으나 2016년 4만4950톤으로 증가세로 돌어선 후 2019년엔 4만7078톤까지 늘어났다.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 보전'을 위해서라도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과 확대하는 정책이 더 필요한 이유다.

 

하지만 친환경농업이 줄어드는 이유는 분명하다.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아도 제대로 농가수익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배 작물도 감귤과 일부 밭작물로 한정적이다.

 

또한 친환경학교급식이나 몇몇 유명 영농조합법인, 한살림이나 아이쿱 등 친환경 매장을 제외하면 유통도 어려운 실정이다.

 

친환경농업에 대한 인식전환과 인증제도 개선 등 정부와 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다.

 

우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친환경농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소비자가 친환경농업이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 등 환경보전기능을 한다는 인식을 점차 갖게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제도적으로 친환경인증마크를 차별화해야 한다. 우선 친환경인증과 GAP인증(농산물우수관리인증)을 차별화해야 한다.

 

GAP의 제초제와 GMO종자를 사용하더라도 인증받을 수 있기 때문에 확연하게 친환경인증과 구분토록해야 한다는 게 친환경농가들의 주문이다.

 

친환경농가들이 가장 큰 어려움은 판로개척, 즉 유통의 문제다. 제주도는 친환경농산물을 학교 급식으로 30% 소비되고 있다.

 

그외에는 한살림과 아이쿱 등 친환경매장으로 유통되거나, 영농조합법인을 통해 택배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농가들은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선 학교급식을 넘어 공공급식과 복지급식까지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제주도나 교육청, 군부대 등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법인까지 급식을 친환경농산물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도는 제주형 공공급식 식재료 유통센터 건립을 통해 친환경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판로를 확보할 계획이지만 점점 늦어지고 있다.

 

유지호 제주도 친환경농업정책과 팀장은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판로확대를 위해 학교급식을 넘어 공공-복지급식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를 잘알고 있다"며 "제주형 공공급식유통센터를 조속히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애월읍 봉성리에서 2대째 친환경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강성욱씨(32)는 "친환경농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의 인증제도 정비,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 학생들에게 농업 관련 교육이 선행돼야 한다고"며 "청정제주라고 하지만 화학비료 사용량은 전국 1위로 부끄러운 현실인데 행정에서 친환경농업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의소리=이승록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