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참여환경연대 "송악산 일대 역사.지질적 가치 높아...평화대공원 공약 이행"

 

송악산 유원지 개발사업과 관련해 제주도내 환경단체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의회가 송악산 뉴오션타운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안 동의안 심의를 앞두면서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7일 성명을 내고 "제주도의회는 도정질의를 통해서 송악산 뉴오션타운조성사업에 대한 도지사의 견해를 질의했고 원희룡 제주지사는 현재의 개발사업에 대해 반대 입장을 피력하면서 문화재 지정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면서 "이제는 제주도의회가 뉴오션타운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동의안에 대한 확실한 의지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송악산 일대는 지난 수십년 간 끊임없이 난개발의 표적이 돼왔다. 경관적 가치와 개발을 유도하는 지구 지정의 결과"라면서 "최근 중국자본인 신해원유한회사가 계획하고 있는 뉴오션타운조성사업은 행정 절차를 대부분 마치고 도의회의 환경영향평가안 동의와 도지사의 최종 승인만을 남겨두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도의회는 뉴오션타운조성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동의안 상정을 미루면서 여러모로 고심을 했고 역사적・지질적 가치를 살펴서 문화재 지정을 모색하는 토론을 열기도 했다"면서 "토론자들은 송악산 일대에 대한 문화재 지정은 물론 세계자연유산과 세계문화유산이 결합된 세계복합유산 등재에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모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환경영향평가 과정과 경관심의 과정에서의 난맥상이 제주MBC보도를 통해서 드러났다"며 "보전가치에 대해서도 도의회 토론회를 통해 확인해 뉴오션타운조성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동의안에 대한 부동의는 당연한 귀결"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송악산 일대가 안고 있는 역사적 아픔을 잘 알고 고(故) 노무현 대통령이 약속한 평화대공원 공약에 대해 이어받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밝힌 바 있다"며 "송악산 일대를 문화재로 지정하고 항구적인 보전을 위한 평화대공원 공약에 대한 구체적 실현 계획을 밝혀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한편 송악산 뉴오션타운 개발사업은 중국자본인 신해원 유한회사가 추진하는 사업이다.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일대 19만1950㎡ 부지에 총 사업비 3700억원을 투자, 461실 규모의 호텔 2개와 캠핑시설, 상업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제주도의회는 오는 28일 '송악산 뉴오션타운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서 협의내용 동의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송악산=해발 104m에 불과하지만 지질학적으로 정평이 난 산이다. 120만년이란 형성사를 간직한 제주도에서 이 산은 고작 4000~5000년 전에 분출해 만들어졌다. 그것도 바닷속에서 화산폭발이 이뤄져 제주 본 섬과 몸을 합치더니 중심부의 2차 화산활동으로 ‘분화구 안에 분화구’를 갖춘 이중분화구 구조가 됐다.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경우이자 ‘한반도 최근세 화산’이란 별칭까지 붙었다. 지질학자들은 화산활동의 특징을 보여주는 ‘화산지질학 교과서’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 산은 역사의 생채기마저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해안절벽지대엔 15개의 인공동굴이 뻥뻥 뚫려 있고, 곳곳마다 참호의 흔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이던 1940년대 초 일본군이 ‘태평양 결(決) 7호 작전’이란 이름 아래 요새화에 나선 결과다. 해안포 진지였던 인공동굴은 미군함대를 향해 포탄을 안고 육탄돌진할 가미가제(神風)식 어뢰정의 은폐장소이기도 했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때 일본군은 미군의 상륙루트를 이곳으로 봤고, 7만 명의 병력을 제주도에 주둔시킬 정도였다. 물론 송악산의 배후지인 드넓은 벌판 ‘알뜨르’엔 공군기지가 만들어졌다. 지금도 알뜨르엔 일제의 지하벙커·관제탑의 흔적이 남아 있고, 1m 두께가 넘는 콘크리트 항공기 격납고 23기가 널려 있다. 한국전쟁 무렵 국군의 양성소인 ‘육군 제1훈련소’가 있던 자리도 송악산 지척이다. 지금 대한민국 해병대 1개 대대가 주둔하고 있는 자리가 그곳이다.

 

송악산 부근 섯알오름은 학살의 장소이기도 했다. 4·3사건의 광풍과 한국전쟁을 전후로 불었던 살육의 피바람은 이 산 언저리를 또 선택했다. 수많은 주민들이 영문도 모르고 끌려가 총살을 당하고 파묻힌 곳이 또 그곳이다.

 

그 험한 세월을 보낸 송악산은 아예 송두리째 사라질 위기를 처음 겪게 된 시기는 1999년이다. 1999년 12월 말 이 산의 분화구지대를 사실상 갈아 엎는 레저타운 개발사업을 제주도가 승인해줬고, 대한지질학회 등 학계와 환경단체가 반대의 목소리를 드높인 끝에 수년 만에 사업 자체가 취소됐다.

 

송악산은 2010년 의도치 못한 '올레 걷기' 열풍의 무대가 됐다. 당시 산 정상까지 탐방객들의 행렬이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산 정상부는 맨땅을 드러냈고, 풀 조차 보기 어려울 지경에 몰렸다.

 

화산재 흙은 산 아래로 줄줄 흘러내렸고, 곳곳에서 뿌리를 드러낸 나무도 쉽게 만날 정도였다. 급기야 사단법인 제주올레가 나서 올레코스를 바꾸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정상부 출입금지’란 형식으로 그 자연은 다시 보호되는 듯 했다.

 

송악산은 2010년 우근민 도정을 거치면서 중국자본 개발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환경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은 다시 들고 일어섰고, 중국자본에 종속되는 지역개발의 문제를 지적함과 아울러 그 비경을 특정 업체가 독식한다는 '경관 사유화' 논리를 주장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