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정부, 기본계획 심의.확정 ... 탑동 앞바다 초대형 신항만 동북아 허브 부상

 

동북아 최대규모의 제주 신항만 개발사업이 본격화됐다. 정부가 기본계획을 확정, 제주신항만 건설사업이 담긴 항만기본계획이 지정・고시절차에 들어갔다.

 

정부는 1일 오전 정부 세종청사에서 국무총리 주재로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한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2019~2040)’을 심의・확정했다.

 

해양수산부는 이에 따라 제주신항만 개발사업을 포함한 항만기본계획을 오는 2일자로 지정・고시할 계획이다.

 

제주신항만 건설은 초대형 크루즈와 여객부두 일원화를 통해 연간 400만명의 관광객을 수용하는 해양관광 허브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제주도는 이에 대해 “해양관광지 제주의 관광 잠재력을 배가하고 기항 크루즈 수요 급증에 대비한 동북아 고품격・친환경 크루즈 모항 육성을 목적으로 추진된다”고 말했다.

 

제주신항은 오는 2040년까지 모두 2조8662억원을 투입, 제주시 삼도동과 건입동, 용담동 일대 해안에 건설된다. 사업비 중 국비는 1조8245억이다. 2.82km 크기의 방파제 및 2.09km의 호안 등 외곽시설과 크루즈 4선석, 여객 9선석의 접안시설, 82만3000㎡ 면적의 항만 배후부와 도로 등이 이번 사업에 포함된다.

 

총면적 128만3000㎡ 면적의 동북아 최대 규모의 여객항만이다. 탑동 앞바다에 초대형 신항만이 들어서는 것이다.

 

 

제주도는 이번 신항 개발의 방향을 크게 3가지로 잡았다.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과 해양관광 클러스터화, 항만-도시 상생전략을 통한 개발이다.

 

해양관광인프라 확충은 대형 크루즈부두 4선석 및 국내・국제여객 부두 건설 9선석 등 여객부두 특화 사업이다. 해양관광 클러스터화는 크루즈 및 국내 여객부두 인접 배후부지를 확보, 상업・문화・관광 복합지구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항만-도시 간의 상생전략을 통한 개발은 제주신항과 내항 재개발을 연계한 ‘에코 존’을 조성, 미세먼지 저감과 소음・공해예방 등의 효과를 노린다.

 

조동근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현재 제주항은 여러 애로점도 많고 다른 지방에서 제주에 해양관광을 오고 싶어도 선석이 부족해 제대로 입항도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이번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 국장은 “이런 필요성으로 인해 2015년부터 제주신항만 개발에 대한 자체 기본계획을 수립해 왔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이후 2016년도에 해양수산부에 제주신항만 기본계획을 정부에 지정・고시해달라고 요청을 했지만 기획재정부에서 제동을 걸었다. 제주도는 그 이후에도 꾸준히 신항만 지정・고시를 위해 중앙 절충에 힘을 쏟아왔다. 

 

제주도는 “신항만 사업의 법적근거가 마련됐다”며 “앞으로 크루즈 여객 유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국비확보, 환경영향평가, 어업권 보상 추진과정 등에서 지역주민과 협력 도모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이번 제주신항이 완공될 경우 6조3768억원 규모의 생산유발효과와 4조9666억원 규모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취업유발효과도 2만9158명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더해 구도심 활성화와 국제크루즈 거점항만을 통한 성장동력이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조 국장은 “제주도민의 결접된 역량을 바탕으로 크루즈 여객유치에 전력을 다하고 주민들과 지속적으로 대화, 기재부・해수부 등 중앙정부와 긴밀한 협의과정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신항만 건설에 따라 기존 제주항은 관공선과 화물선 위주로 운영이 될 예정이다. 또 산지천 하류 어선 접안시설 역시 정비가 이뤄진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