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이권홍의 '중국, 중국인'(126) ... 중국사에 담긴 미스테리

  중국이 제주로 밀려오고 있다. 한마디로 러시다. 마치 '문명의 충돌' 기세로 다가오는 분위기다. 동북아 한국과 중국의 인연은 깊고도 오래다. 하지만 지금의 중국은 과거의 안목으로 종결될 인상이 아니다.

  <제이누리>가 중국 다시보기에 들어간다. 중국학자들 스스로가 진술한 저서를 정리한다. 그들이 스스로 역사 속 궁금한 것에 대해 해답을 찾아보고 정리한 책들이다. 『역사의 수수께끼』『영향 중국역사의 100사건』등이다.
  중국을 알기 위해선 역사기록도 중요하지만 신화와 전설, 속설 등을 도외시해서는 안된다. 정사에 기록된 것만 사실이라 받아들이는 것은 승자의 기록으로 진실이 묻힐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판단도 중요하지만 중화사상에 뿌리를 둔, 그렇기에 너무 과하다 싶은 순수 중국인 또는 중국학자들의 관점도 중요하다. 그래야 중국인들을 이해할 수 있다.

 

  중국문학, 문화사 전문가인 이권홍 제주국제대 교수가 이 <중국, 중국인> 연재 작업을 맡았다. / 편집자 주

 

 

이사사(李師師), 생졸 미상, 북송(北宋) 말년 변경(汴京)의 명기(名妓)다. 기록에 따르면 우아한 자태를 지녔고 음률과 서화에 능통해 변경의 명사들과 왕래했다고 한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송(宋) 휘종(徽宗)도 그녀의 명성을 흠모해 친히 찾아가 함께 시를 화창하면서 사랑을 노래했다고 한다. 이사사의 말년은 알려진 바가 없다. 일설에는 장방창(張邦昌)이 금나라 장수에게 바쳤는데 명예와 절개를 위해 자진했다고 한다.

 

이사사는 북송 말년 재색을 겸비한 이름난 기녀로 망국의 군주와 관계를 맺은 여자로 국가의 대사와 관련이 있다고 전해진다. 전기적인 색채가 강한 이야기를 많이 남기고 있다. 그녀에 대한 기문과 일사가 많이 전한다.

 

 

 

 

장단의(張端義)의 『귀이집(貴耳集)』과 장방기(張邦基)의 『묵장만록(墨莊漫錄)』에 따르면 이사사는 유명한 문인 주방언(周邦彦), 조충지(兆沖之) 등과 교류하면서 시를 주고받았다고 한다. 북송 후기의 멋있는 스캔들로 남아있다.

 

송(宋) 휘종(1082-1135)은 재위 기간 중 정화(政和) 연간 이후 미복으로 갈아입고 출류해 작은 수레를 타고 이사사의 집에 자주 갔다. 한 번은 휘종이 미복차림으로 이사사의 집에 갔는데 마침 주방언이 그곳에 있었다. 주방언이 휘종이 왔다는 말을 듣고 피할 데가 없어 침대 밑으로 숨어들었다. 그 사실을 알지 못한 휘종은 귤을 꺼내 같이 먹으면서 이사사와 사담을 나눴는데 나중에 주방언이 『소년유(少年游)』라는 사를 써 그 일을 읊었다고 한다. 이후 이사사가 휘종 앞에서 이 사를 노래하자 휘종이 누가 지은 것이냐고 물었다.

 

이사사가 주방언이 지은 것이라 대답하자 휘종이 대노하여 옷소매를 뿌리치고 나가버렸다. 궁으로 돌아간 휘종이 승상 채경(蔡京)에게 “개봉(開封)부에 주방언이라는 염세관(鹽稅官)있는데 그가 세금을 제대로 내지 않는다. 그대들은 어찌 그를 잡아다 문초하지 않는가?”라고 했다. 채경이 황상의 말을 듣고 무슨 뜻인지 알 길이 없어 그저 명대로 처리하겠다고 대답하고 물러났다. 채경이 여러 경로를 통해 알아본 결과 주방언은 맞는 액수대로 세금을 납부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나 황상의 의도가 우선인 것. 채경은 태만할 수 없어 즉시 주방언의 관직을 박탈하고 경도를 떠나도록 명했다. 오래지 않아 휘종은 또 이사사의 집으로 찾아갔는데 이사사가 없었다. 어찌된 일이냐고 묻자 주방언을 배웅하러 나갔다고 했다. 얼마 없어 이사사가 돌아오자 휘종은 대노해 “어디 갔었느냐?”고 물었다. 이사사는 경도를 떠나는 주방언을 배웅하러 갔었노라 대답했다. 휘종이 또 “다른 사를 지어 주지 않았느냐?”고 묻자 이사사는 『난릉왕(蘭陵王)』을 지어주더라고 답했다.

 

휘종은 중얼거리듯 “한 번 불러보라. 들어보자”고 하자 이사사는 억지웃음을 짓고 술 한 잔을 권하며 “신첩이 성상을 위해 ‘난릉왕’을 노래해 바치겠나이다”라고 하고는 사를 읊었다. 노래가 끝나자 휘종은 감탄을 금하지 못했다. 마음속 노기는 이미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즉시 명을 내려 주방언을 귀경케 하라고 하고는 대성악정(大晟樂正)의 관직을 내렸다.

 


『少年游』

 

并刀如水, 병주(幷州)의 칼은 물처럼 희고
吴盐胜雪, 오(吳)의 소금은 눈보다 흰데
纤手破新橙. 섬섬옥수로 새로 익은 귤을 까네.
锦幄初温, 비단 장막 이제 막 따스해지자
兽烟不断, 수형 양초에서 끊임없이 연기 피어오르니
相对坐调笙。 서로 마주 앉아 생황을 부네.
低声问, 나지막하게 묻나니
向谁行宿, 누구네 가서 묵을 건가요,
城上已三更。 성에서 이미 삼경을 알렸는데.
马滑霜浓, 말도 서리 수북이 내릴 길에선 미끄러울 텐데
不如休去, 가시지 않는 것이 좋을 듯싶네요.
直是少人行。 지금은 나다니는 사람 거의 없답니다.

 

 

 

 

양산박(梁山泊)에서 봉기했다고 전해오는 송강(宋江)이 조정에 귀순하려 할 때 이사사와 휘종의 관계를 이용하려고 몰래 변경에 진입해 이사사를 찾았다. 이사사가 휘종의 신임이 깊어 나중에 휘종이 그녀를 궁으로 불러 영국부인(瀛國夫人)이나 이명비(明妃)에 봉할 생각을 갖고 있었다. 선화(宣和) 7년 12월(1126년 1월) 휘종은 금나라 군대가 진군하자 황위를 태자에게 넘겨준다. 그가 흠종(欽宗)이다. 이사사는 의지할 데가 없어지자 화를 면하기 위해 휘종이 하사한 재화를 관부에 헌납해 하북 군대의 군비로 쓰게 하고 자신은 여도사가 되려 했다. 정강(靖康) 원년(1126)에 흠종은 이사사의 가산을 몰수하도록 명했다. 오래지 않아 변경이 함락되고 북송은 멸망했다. 이런 변고를 겪으면서 이사사는 가산을 소진하고 본인의 행방도 묘연하게 됐다. 그렇게 이사사의 말년은 오리무중 속으로 빠져들었다.

 

역대 기록을 종합해 보면 이사사의 행방에 대해 세 가지 설로 집약된다. 그 하나는 소설 『이사사외전』이 대표다. 소설에서는 금나라 군대가 변경을 함락시킨 후 장수 달라(撻懶)가 이사사를 지명해 자신에게 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금나라에까지 이사사에 대한 명성이 자자하니 그녀를 찾았던 것이다. 장방창 등이 이사사의 종적을 찾아 금나라 장수에게 넘기려고 했다. 이사사는 노기를 띠고 장방창을 책망하며 금비녀로 목을 찔러 자살하려고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자 아예 금비녀를 삼켜서야 죽음에 이를 수 있었다고 한다. 후세의 통속소설은 이 설을 연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설가들은 특정 사건이나 인물을 빌려 망국의 한을 달래려 했던 것으로 어떤 증거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설에 찬동하는 학자들은 많지 않다.

 

다른 하나는 장방기의 『묵장만록』이 대표다. 이사사가 가산을 몰수당한 후 절강(浙江) 일대를 유랑하다가 현지 사대부의 요청에 응해 노래를 읊으며 살았다고 본다. 물론 그때의 이사사는 이미 “초췌하여 이전의 자태를 회복하지 못했다.” 송대 평화(評話) 『선화유사(宣和遺事)』에도 유사한 기록이 보이지만 그녀가 간 곳이 호상(湖湘, 현 상남湘南 일대)으로 상인들과 어울렸다고 돼 있다.

 

마지막 하나는 변경이 함락된 후 이사사는 포로가 돼 북쪽으로 끌려가 전쟁터에서 부상을 입은 노병의 처가 돼서 비참하고 괴로운 말년을 살았다고 본다. 물론 다르게 보기도 한다. 이사사는 이미 여도사가 됐기 때문에 당시 금나라 장수 달라가 장방창 등 항복한 대신들에게 제공한 황궁의 부녀자 명단 속에는 그녀의 이름이 없어서 이른바 “이사사는 분명 경도를 빠져 나갔기 때문에 요구자 명단에는 없었다. 그렇지 않다면 결코 벗어나지 못했을 것이다”라는 설도 생겼다.

 

『청니연화기(淸泥蓮花記)』에는 이사사를 만났을 때 “정강의 난 때 이사사는 남쪽으로 갔다. 호상에서 그녀를 만난 사람이 있는데 노쇠하고 초췌하여 예전의 풍모와 자태는 없었다”라고 기록돼 있다. 만약 사실이라면 노쇠하고 초췌한 원인은 연령 때문이기도 하지만 심리적인 원인이 많았을 것이다. 이사사는 비록 사치스런 생활을 영위했던 가문은 아니었지만 어느 정도 풍족한 생활을 누렸던 것은 사실이다. 동란이 끊이지 않던 사회였지만 명성을 누리며 자신의 재능을 뽐내던 기녀가 길거리에서 구걸하는 거지 신세가 됐으니 그 심리적 타격의 정도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전쟁의 재앙은 이사사를 초췌하게 했고 이전의 우아한 노랫소리도 사라지게 했을 것이며 사람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예전의 풍채도 사라지게 했을 터이다.

 

위에서 말한 세 가지 관점 중에서 두 번째 설이 비교적 믿을 수 있다. 변경이 함락되기 전에 이사사는 이미 서인이 됐고 여도사가 됐다. 민간으로 숨어들어 절강이나 호상 일대에 유랑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금나라 군대가 항복한 대신들에게 제공한 명단 대부분은 비빈들이었다. 이사사가 그 명단에 있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 그녀의 이름을 거론하며 상납하라는 요구를 했거나 나포돼 북쪽으로 끌려갔을 가능성은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이사사는 전기적 색채가 농후한 여인이다. 그녀에 대한 소문은 억측이 많고 와전된 부분이 많을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그녀가 과연 어떤 만년을 살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로 남을 수밖에 없다. 
 

 

 

 

 

『蘭陵王․柳』

 

柳陰直 버드나무 그늘 곧게 드리워
燃裏絲絲弄碧 안개 속에 가지마다 푸른빛 도누나.
隋堤上, 수나라 방죽에서
曾見幾番 몇 번이나 보았던고
拂水飄綿送行色 수면을 스치며 떠도는 버들개지 이별의 정경을.
登臨望故國 방죽에 올라 고향 땅 바라보는
誰識京華倦客 서울의 지친 나그네를 그 누가 알아볼까?

 

長停路, 역마을 길 위로
年去歲來, 숱한 세월 오가며
應折柔條過千尺 부드러운 버들가지 천 자도 넘게 꺾였으리.
閑尋舊蹤迹, 쓸쓸히 옛 자취 더듬다가
又酒趁哀弦 또 슬픈 가락 따라서 술잔을 기울인다.
燈照離席, 등불은 이별의 술자리 비추는데
梨花楡火催寒食. 배꽃 피고 느릅나무 불 댕기는 한식이 가까웠구나.

 

愁一箭風快, 슬프다, 화살처럼 빠른 바람에
半篙派暖 상앗대 따스한 물살에 반쯤 잠겨
回頭迢遞便數驛. 돌아보니 지나온 역 몇이런가?
望人在天北. 그리운 임 북쪽 하늘 끝에 있다.

 

悽惻,恨堆積 슬픔에 한이 쌓인다.
漸別浦縈廻 이별의 포구 굽이굽이 점점 멀어져 가니
津堠岑寂 나루터의 돈대는 적막하다.
斜陽冉冉春無極 뉘엿뉘엿 석양은 지는데 봄빛은 대지에 가득하다.
念月榭携手 달빛 가득한 누대에서 잡았던 손 생각난다.
露橋聞笛 이슬 내리는 다리에서 들었던 피리소리.
沈思前事 묵묵히 지난일 생각하니
似夢裏, 꿈만 같아
淚暗滴 남몰래 눈물 떨군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나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중문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으로 『선총원(沈從文) 소설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한자풀이』,『제주관광 중국어회화』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