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김태일 교수, 도의회 행자위 정책토론회서 제기 ... "제주자연경관 훼손" 우려
"제주 서북부 지역 및 도심지 토지도 집중매입 ... 중국인 보유토지 급등"

'분화구 안에 분화구'  구조인 겹분화구 구조로 유명한 송악산. 이 송악산 주변일대를 중국인들이 잠식하고 있다. 거의 싹쓸이 수준이다.

 

이는 김태일 제주대 건축학과 교수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 송악산(松岳山) 주변일대의 중국인 소유토지의 지역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고정식)는 12일 오후 제주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지속가능한 제주사회를 위한 공유재산 관리체계 구축방안’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김 교수는 이 자리에서 "중국자본에 의해 새로운 리조트가 개발되면 천연 자연경관 훼손은 시간문제"라며 중국인 소유토지 현황을 공개했다.

 

 

 

 

송악산 등 해안과 중산간 뿐만 아니라 도심 주거지까지 중국자본은 무차별 매입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산남보다는 산북지역, 동쪽지역보다는 서쪽지역에서의 토지매입이 집중됐다.

 

2014년 5월 현재 중국인이 소유한 제주도 땅은 356만9180㎡로, 미국인 소유 370만9408㎡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이어 일본인 소유가 211만6561㎡로 뒤를 이었다.

 

특히 중국인 소유 토지는 2010년 이후로 급증했다. 무비자 입국과 부동산투자이민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의 매입추세라면 중국인들은 올해 말까지 700만㎡의 땅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마라도(29만8000㎡)의 20배가 넘는 면적이다.

 

한편 송악산 주변일대는 중국 신해원 유한회사가 ‘뉴오션타운’ 개발사업 부지로 낙점한 곳이다.

 

'뉴오션타운' 사업은 신해원 유한회사가 지난해 송악산 일대 400만㎡ 땅을 매입해 대정읍 상모리 일대 19만1950㎡ 부지에 652실 규모의 호텔을 비롯해 205실 규모의 휴양콘도미니엄과 문화시설 및 음식점 등을 조성하는 중국자본의 프로젝트다.

 

환경단체는 자연경관 훼손과 근현대 역사유적 훼손 문제 등을 거론하면서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

 

 

 

 


송악산=해발 104m에 불과하지만 지질학적으로 정평이 난 산이다. 120만년이란 형성사를 간직한 제주도에서 이 산은 고작 4000~5000년 전에 분출해 만들어졌다. 그것도 바닷속에서 화산폭발이 이뤄져 제주 본 섬과 몸을 합치더니 중심부의 2차 화산활동으로 ‘분화구 안에 분화구’를 갖춘 이중분화구 구조가 됐다.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경우이자 ‘한반도 최근세 화산’이란 별칭까지 붙었다. 지질학자들은 화산활동의 특징을 보여주는 ‘화산지질학 교과서’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 산은 역사의 생채기마저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해안절벽지대엔 15개의 인공동굴이 뻥뻥 뚫려 있고, 곳곳마다 참호의 흔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이던 1940년대 초 일본군이 ‘태평양 결(決) 7호 작전’이란 이름 아래 요새화에 나선 결과다. 해안포 진지였던 인공동굴은 미군함대를 향해 포탄을 안고 육탄돌진할 가미가제(神風)식 어뢰정의 은폐장소이기도 했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때 일본군은 미군의 상륙루트를 이곳으로 봤고, 7만 명의 병력을 제주도에 주둔시킬 정도였다. 물론 송악산의 배후지인 드넓은 벌판 ‘알뜨르’엔 공군기지가 만들어졌다. 지금도 알뜨르엔 일제의 지하벙커·관제탑의 흔적이 남아 있고, 1m 두께가 넘는 콘크리트 항공기 격납고 23기가 널려 있다. 한국전쟁 무렵 국군의 양성소인 ‘육군 제1훈련소’가 있던 자리도 송악산 지척이다. 지금 대한민국 해병대 1개 대대가 주둔하고 있는 자리가 그곳이다.

 

 

송악산 부근 섯알오름은 학살의 장소이기도 했다. 4·3사건의 광풍과 한국전쟁을 전후로 불었던 살육의 피바람은 이 산 언저리를 또 선택했다. 수많은 주민들이 영문도 모르고 끌려가 총살을 당하고 파묻힌 곳이 또 그곳이다.

 

그 험한 세월을 보낸 송악산은 아예 송두리째 사라질 위기를 처음 겪게 된 시기는 1999년이다. 1999년 12월 말 이 산의 분화구지대를 사실상 갈아 엎는 레저타운 개발사업을 제주도가 승인해줬고, 대한지질학회 등 학계와 환경단체가 반대의 목소리를 드높인 끝에 수년 만에 사업 자체가 취소됐다.  

 

 

송악산은 2010년 의도치 못한 '올레 걷기' 열풍의 무대가 됐다. 당시 산 정상까지 탐방객들의 행렬이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산 정상부는 맨땅을 드러냈고, 풀 조차 보기 어려울 지경에 몰렸다.

 

화산재 흙은 산 아래로 줄줄 흘러내렸고, 곳곳에서 뿌리를 드러낸 나무도 쉽게 만날 정도였다. 급기야 사단법인 제주올레가 나서 올레코스를 바꾸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정상부 출입금지’란 형식으로 그 자연은 다시 보호되는 듯 했다.

 

송악산은 2010년 우근민 도정을 거치면서 중국자본 개발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환경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은 다시 들고 일어섰고, 중국자본에 종속되는 지역개발의 문제를 지적함과 아울러 그 비경을 특정 업체가 독식한다는 '경관 사유화' 논리를 주장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