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이형상 목사 ··· <탐라순력도>그리며 제주풍속에 개혁의 칼날

이형상(李衡祥 : 1653~1733)

 

“타인을 해하는 말은 입 밖에 내지 말고,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으로 타인에게 행하지 말며, 사사로이 이익을 탐하는 욕심이 마음에서 싹트게 하지 말며, 게으름이 몸에 배지 않도록 하라(惡言不出於口 悖行不加於人 利欲不萌於心 怠慢不設於身)”

 

1703년에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제주의 비루한 풍속을 일체 개혁하여 유교적 풍속[儒俗]으로 바꾸게 했던 이형상이 생전 일상에서 경계로 삼던 잠언(箴言)의 한 구절이다.

 

그는 25세 되던 1677년(숙종 3)에 사마시, 1680년에 문과시에 급제한 후 내직에서 4년, 외직에서 8년, 모두 12년간 관직에 있었던 이외에는 81세로 일기를 마칠 때까지 학문에만 전념하여 60여종 200여 책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유고 병와집이 1774년(영조 50) 손자에 의해 간행되었는데, 그중 제주도 관계저술인 남환박물지(南宦博物誌)와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가 유명하다.

 

남환박물지는 1년 3개월간의 목사직을 이임하고 영천(永川)의 호연정(浩然亭)에서 완성한 지지(地誌)로, 1만3850자에 제주도 및 그 주변 도서의 자연 역사 인물 산물 풍속 방어 등에 대한 기록을 담아내고 있다.

 

탐라순력도는 이형상이 1702년(숙종 28) 제주목사 겸 병무수군절제사로 부임하던 해에 도내의 각 고을 순시를 비롯하여 일년 간 거행한 여러 행사장면을 제주목 소속의 화공으로 추측되는 김남길에게 그림으로 그리게 하여 성첩(成貼)한 것이다. 제주도 지도 1면과 행사장면 40면, 서문 2면 등 모두 43면으로 이루어졌다.

 

이 순력도는 18세기 초반, 제주도의 관아와 성읍, 군사 등의 시설과 지형에 대한 갖가지 시각정보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주도 역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제주목사 재임과 관련하여 남환박물과 탐라순력도를 남김으로써 그의 존재가 일반인들에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형상은 도학적 이상을 평생 몸으로 실천한 유학자였다.

 

이형상의 유고집을 보면 그가 철저히 유학으로 무장한 성리학자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임 후 바로 공자를 모신 삼읍의 향교를 수리하고, 동성혼인 등의 음란한 풍속을 금지하였다. 그리고 남녀혼욕(混浴)과 해녀들이 나체로 잠수 작업하는 것을 금하였다.

 

그리고 주성 남문 밖에 있었던 한라호국신사인 광양당(廣壤堂)과 대정현의 광정당(廣靜堂) 등 신당 129개소를 모두 불태우는 등 음사를 철저히 단속하였다. 또한 미신적으로 흘렀던 불교를 배척하여 두 사찰을 불태웠다. 그리고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의 삼성사(三姓祠)를 가락천(嘉樂泉) 동쪽에 창건하였다. 이때 이형상이 지은 삼성사 상량문(三姓祠上樑文)이 현재까지 전해온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1911년 6월에 세워진 使相李衡祥紀念碑(사상 이형상 기념비)가 현재 삼성혈 구내에 전해지고 있다. 그가 떠난 후 도민들이 세운 송덕비 4개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비다.

 

 

광정당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조선 숙종 때 경상도 영천 사람인 이형상이 제주 목사로 부임하였다.

 

부임하여 섬 안을 돌아본 이 목사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정말 당(신을 모셔 놓고 위하는 집)이 많고 절들도 많았던 것이다. 게다가 그 많은 절들도 거의 제 구실을 못하여 매일 굿하는 소리가 그칠 새가 없었다. 사람들은 농사지을 생각은 않고, 어려운 일이 닥치면 곧 무당을 부르거나 당을 찾아가 굿하기에만 열중했다.

 

관가에서 백성을 모아 무슨 일을 하려고 해도,

 

“나는 절에 간다.”

 

“나는 당에 간다.”

 

하여 도저히 모을 수가 없는 지경이었다. 그만큼 당시 제주 백성들은 관리들보다는 무당을 더 따르고 있었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한 이형상 목사는 어느 날 평민들이 입는 옷을 입고 굿하는 곳에 몰래 들어가 굿을 구경했다. 밤이 이슥해지자 이 목사는 굿을 하던 무당 한 사람을 데리고 관아로 돌아왔다.

 

목사는 무당을 꿇어앉히고 문초하기 시작하였다.

 

“여봐라, 굿을 하면 귀신이 나타나느냐?”

 

감히 목사 앞에서 귀신이 나타난다는 말을 못해 무당은 이리저리 둘러대었다.

 

“저 같은 미천한 처지에 어찌 귀신을 볼 수 있겠습니까. 저는 그저 헛소리를 하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렇게 굿을 하는데도 귀신을 못 볼 리 있느냐?”

 

“제 처지엔 도리가 없습니다.”

 

“어떤 처지라면 도리가 있단 말이냐?”

 

“아뢰옵기 송구하오나, 이름 있는 무당들은 볼 수 있다고 합니다만…….”

 

“이름 있는 무당들은 볼 수 있다니, 그러면 귀신이 있긴 있는 것이냐?”

 

“아마도 그들한테는 그러한 줄로 아옵니다만…….”

 

무당이 그저 우물쭈물하며 막연하게 대답하자 목사가 화를 내었다.

 

“거, 귀신이 있다는 말이로구나!”

 

이 목사는 그 무당을 돌려보내고, 제주도를 한 바퀴 돌면서 이놈의 당들을 부숴 버려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우선 신령이 세지 않을 듯한 규모가 작은 당부터 부수기로 하였다. 그 당을 관장하는 무당들에게 굿을 하게 하고 신령이 나타나지 않으면 부수는 식이었다.

 

그렇게 해서 많은 당을 부수었는데도 귀신이 나타나지 않자, 이 목사는 귀신이라는 게 있을 것 같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내친 김에 섬 안에 있는 모든 당과 절을 부수기로 결심하였다.

 

목사 일행은 그렇게 당을 부수면서 안덕면 덕수리 지경에 있는 광정당이라는 큰 당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 당 근처까지 이르자, 말을 끌던 시종이 갑자가 말 아래 엎드리는 것이었다.

 

“사또 나리, 이곳 광정당은 신령이 세기로 유명합니다. 말에서 내려서 지나가셔야 합니다.”

 

시종은 머리를 땅에 닿도록 엎드린 채 간곡히 말했다.

 

“그게 무슨 말이냐? 이 섬 안에서 목사인 내가 말에서 내려 지나가야 할 곳이 어디 있단 말이냐?”

 

이 목사는 시종의 말을 듣기는커녕 오히려 화만 내었다.

 

“사또 나리, 그냥 지나가시면 정말 큰일이 납니다. 말이 그 자리에서 죽어버립니다.”

 

“쓸데없는 소리 하지 말라! 정녕 네 말이 무엄하구나!”

 

“사또 나리, 부디 제 말씀을 들어주십시오!”

 

시종이 아무리 간곡하게 말해도 목사는 듣질 않았다.

 

“어서 말을 끌어라.”

 

겁에 질린 시종이 땅에 엎드려 머리만 조아리고 있자, 목사는 역정을 내며 그대로 말을 탄 채 당 앞을 지나가기 시작했다.

 

곧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몇 발자국 걷지도 못한 말이 더 이상 움직이질 않는 것이었다. 한참이나 제 자리에 선 채 꼼짝하지 못하던 말은 이내 그 자리에 고꾸라져 버리고 말았다.

 

“여봐라, 여기 다른 말을 대령하여라.”

 

화가 난 목사가 호통을 치며 위엄을 내세웠으나 누구도 얼른 그의 말을 따르지 않았다.

 

“다른 말을 대령하라 하지 않았느냐!”

 

목사의 명령에 마지못해 다른 말이 끌려나왔다.

 

목사가 새 말을 타고 그 당 앞을 지나가려는데 그 말도 역시 그 자리에 쓰러지고 말았다.

 

‘아무래도 이 당에는 귀신이 있긴 있는 모양이군.’

 

목사는 시종들을 시켜 이 당에서 굿을 하는 무당을 불러오도록 하고, 큰 굿을 할 준비까지 마치도록 명령했다.

 

무당이 끌려오자 목사는 엄히 말했다.

 

“이놈, 네가 굿을 제대로 하면 저 당의 귀신이 내 앞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렷다!”

 

무당은 벌벌 떨었으나 목사의 영을 거역할 수는 없었다. 마을 사람들도 모두 나와 지켜보는 앞에서 무당은 굿을 하기 시작하였다.

 

굿이 계속되는 동안 목사는 주위 마을에서 활 잘 쏘는 사냥꾼들을 찾아 대령시키도록 하였다. 귀신이 나타나면 쏘게 하려는 것이었다.

 

얼마 동안 굿은 계속되었다. 무당은 북과 꽹과리를 울리고 땀을 뻘뻘 흘리면서 신들린 사람처럼 굿을 하였다.

 

그렇게 한 서너 시간 동안 굿을 하는데, 큰 구렁이 한 마리가 음식을 차려놓은 제상 앞으로 쓱 나타나는 게 아닌가.

 

모여 선 사람들은 물론이려니와 목사도 너무나도 의외의 일이라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목사는 즉시 사냥꾼들에게 구렁이를 처치하도록 명령을 내렸다.

 

사냥꾼들은 활을 쏘고 창을 던졌다. 구렁이는 온몸에 숱한 화살을 맞고 여기저기 창에 찔리자 요란하게 꿈틀거리다가 서서히 죽어갔다.

 

죽은 구렁이를 보며 목사가 명령하였다.

 

“저 요사스런 것을 태워 없애라.”

 

이렇게 광정당 귀신을 물리친 이 목사는 당을 부수는 데 더욱 자신을 얻게 되었다.

 

그 후 온 섬을 샅샅이 뒤지며 당이란 당은 모두 부수어 버린 이 목사는 그곳에서 굿을 하던 무당들은 모두 농사를 지어 먹고 살도록 하였다.<이하 생략>

 

-이석범, 「광정당과 이목사」, 『제주전설집』1, 제주문화원, 2011, 176-180쪽.

 

이형상의 신당훼철에 대한 현재의 평가는 비판적 입장으로 냉담하다. 특히 현재 당5백, 절5백, 1만 8천 신들의 고장이라 하며 주요 문화관광콘텐츠의 소재로 각광받는 제주문화의 원형이라 일컬어지는 신당이, 비록 그의 이임 후 다시 이어지기는 했지만, 그에 의해 변질되어졌다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형상은 유학을 진흥시키고 도민의 풍속을 교화시켜야 할 목민관이었다. 철저한 성리학적 입장의 삶을 견지하고 있던 그의 눈에 보이는 제주인들의 풍속은 혹세무민하는 무당들에 의해 피폐되어질 대로 피폐된, 타파되어야 할 어리석은 인습이었을 것이다.

 

이형상은 제주에서 경상도 영천(永川)으로 돌아갈 때는 다만 단금(檀琴) 하나와 시서(詩書) 수권을 행장 속에 넣고 가져갔다고 전하며, 유학을 진작시킨 그의 유덕을 추모하여 1829년(순조 29)에 제주유생들이 영혜사(永惠祠)에 추향(追享)하기도 하였다. 글.사진=백종진/ 제주문화원 문화기획부장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